study about/jewerly

보석 애호가라면 알아두면 좋은 단어 20가지

Celine Kang 2025. 7. 17. 22:14
반응형

보석을 제대로 즐기려면 단순히 예쁘다는 감상만으로는 부족하다. 반짝이는 겉모습 뒤엔 어떤 광물로 만들어졌는지, 어떻게 세공됐는지, 어떤 기준으로 감정되는지에 대한 다양한 정보가 담겨 있다. 이걸 이해하려면 보석 분야에서 자주 쓰이는 기본 용어들을 아는 게 도움이 된다. 아래 20개의 단어는 보석을 더 잘 알고, 더 재미있게 즐기고 싶은 사람들이 꼭 알아두면 좋은 핵심 키워드다. 뜻을 알게 되는 순간, 눈앞의 보석이 다르게 보일 것이다.

 

1. Pigeon’s Blood
루비 중에서도 최고 등급으로 인정받는 컬러. 미얀마 모곡산지산 루비 특유의 강렬하면서도 약간의 푸른빛을 띠는 붉은색을 가리킨다. 이름처럼 비둘기의 혈색을 연상시키는 색감.

 

2. Nacre
진주의 광택과 표면을 이루는 유기질층. 모패(母貝)의 분비물로 만들어지며, nacre층이 두껍고 균일할수록 고급 진주로 인정받는다.

 

3. Loupe
보석을 감정할 때 쓰는 소형 확대경. 감정사는 일반적으로 10배율(10x) 루페를 사용하며, 인클루전이나 컷팅 상태를 평가할 때 필수 도구다.

 

 

4. Inclusions
보석 내부에 존재하는 내포물. 천연의 증거이기도 하며, 형태와 위치에 따라 투명도와 가치에 영향을 준다.

 

 

5. Cabochon
보석 표면을 컷팅 없이 매끄럽게 연마한 돔 형태의 세공 방식. 주로 오팔, 터콰이즈, 문스톤 등 유색보석에 많이 사용된다.

 

 

6. Baguette Cut
직사각형 형태의 커팅 방식. 주로 사이드 스톤이나 장식용 보석에서 볼 수 있으며, 반짝임보다는 구조적인 라인을 강조한다.

 

 

7. Carat (ct)
보석의 무게 단위. 1캐럿은 0.2g에 해당한다. 혼동하기 쉬운 단위로는 금 함량을 뜻하는 K(karat)가 있다.

 

 

8. Hardness (Mohs Scale)
보석의 경도를 나타내는 기준. 다이아몬드는 10, 루비와 사파이어는 9, 터콰이즈는 5~6 수준이다.

 

 

9. Fire
보석에 빛이 들어왔을 때 나타나는 분산광 효과. 특히 다이아몬드처럼 컷팅이 뛰어난 보석에서 무지갯빛처럼 보이는 것이 특징.

 

 

10. Luster
보석의 표면이 빛을 반사하는 성질. 진주는 특유의 소프트한 ‘오리엔트 광택’을 지니며, 다이아몬드는 매우 강한 아담틴 광택을 가진

다.

 

 

11. Pavé
작은 보석들을 촘촘히 세팅한 방식으로, 금속이 거의 보이지 않을 정도로 깔끔한 광면을 만든다. 프랑스어로 ‘포장도로’라는 뜻.

 

 

12. Girdle
보석의 몸통 가장자리 부분. 세팅 시 이 부분이 고정되며, 너무 얇거나 두꺼우면 구조적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13. Culet
보석 하단의 끝부분. 일반적으로 아주 작게 컷팅되며, 없는 경우를 ‘노 퀴렛(No Culet)’이라고 한다.

 

 

14. Brilliance
보석 내부에서 반사되어 나오는 밝은 흰빛. 컷팅이 정교할수록 브릴리언스가 높아진다.

 

 

15. Chatoyancy
'캐츠아이 효과'라고도 하며, 고양이 눈처럼 중앙에 띠가 생기는 현상. 크리소베릴, 호안석 등에 나타난다.

 

 

16. Asterism
‘별광’이라고 불리는 효과로, 보석 표면에 별 모양의 반사광이 생긴다. 스타 사파이어, 스타 루비에서 주로 볼 수 있다.

 

 

17. Patina
시간이 지나면서 금속 표면에 생기는 자연스러운 윤기. 빈티지 주얼리에서는 오히려 긍정적 가치로 여겨진다.

 

 

18. Millegrain
보석 가장자리에 미세한 구슬무늬를 넣은 장식 기법. 아르데코나 빈티지 디자인에서 자주 등장한다.

 

 

19. Heat Treatment
보석의 색상과 투명도를 개선하기 위해 고온 처리하는 과정. 루비, 사파이어 등 대부분의 유색보석에서 흔히 사용된다.

 

 

20. Origin (산지)
보석이 채굴된 지역. 미얀마, 콜롬비아, 스리랑카, 카슈미르 등은 프리미엄 산지로 간주되며, 동일한 보석이라도 산지에 따라 가치가 달라진다.

 

이 단어들은 보석의 외형을 넘어서, 그것이 만들어진 조건과 의미까지 이해하게 해준다. 단순한 장신구가 아닌 ‘지닌 이야기’로서 보석을 보고 싶다면, 이 언어들을 하나씩 자기 것으로 만들어보자. 보석은 언어를 이해하는 순간 더 깊이 반짝이기 시작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