색채 이론
1. 색의 3속성: 색이 가지고 있는 기본적인 성질에 따라 규정하는 세 가지 지각성질 색상(Hue), 명도(Value), 채도(Chroma)
* 인간의 눈: 명도 >색상 >채도
1) 색상(hue)
- 색지각의 3속성 중 하나. 색깔의 질이고 예컨대 빨강, 노랑, 파랑이라 이르는 성질
- 색상환에서 무채색은 제외
- 각 색의 반대편에 있는 색을 보색, 보색의 양옆에 있는 색은 반대색
- 색상환으로 배색을 활용하기에 수월함
2) 명도 (value)
- 색의 성질 가운데 밝기의 개념.
- 색이 밝을수록 명도가 높아지고, 어두울수록 명도가 낮아짐.
- 명도가 높을수록 흰색에 가깝고, 명도가 낮을수록 검정색에 가까워짐.
3) 채도(chroma)
- 채도는 색의 선명함(명료함), 맑고 탁함의 정도를 나타냄
- 채도가 가장 높은 색(선명하고 강한)순색이라고 하며 이 순색에 무채색을 혼합하면 채도가 낮아짐.
- 순색에 무채색을 혼합하는 마지막 단계는 흰색, 회색, 검정색으로 채도가 사라짐
2. 색의 혼합
1) 가산혼합
- 빛을 가하여 색을 혼합할 때, 혼합한 색이 원 래의 색보다 밝아지는(명도가 높아지는) 혼합
- 가산혼합에서는 적·녹·청의 3색을 여러 가지 강도로 섞으면 어떤 색이라도 얻을 수 있으며, 3색 을 가산혼합의 3원색
2) 감산혼합
- CMYK 색 모형(Cyan,Magenta,Yellow and Black) 은 감산 혼합의 색 (cyan, magenta, yellow, black)
- 필름을 인쇄하는 오프셋 인쇄에 사용
3) 병치혼합
- 병치혼합은 조밀하게 병치된 색이 착시현상으로 인해 마치 혼색된 것으로 보이는 것.(옐로우와 마젠타를 물리적으로 섞지 않아도 병치로 배치함으로써 병치된 색은 멀리서 볼수록 주황으로 보임
3. 색의 대비
1) 색상대비
- 색상간의 차이를 느끼게 하는 가장 기본적인 속성.
- 색상 사이에 흰색이나 검정색 띠를 두르게 되면 색상간의 대비가 더욱 명료해짐.
- 색상대비가 가장 크게 인지할 수 있는 색은 삼원색.
2) 명도대비
- 명도가 다른 두 색이 서로 대조되어 두 색 사이의 명도차가 생기는 현상.(똑같은 회색 사각형이라도 검정색 위의 회색이 더 밝아 보임)
- 회색의 스케일을 이용해서 명도의 차이를 이해. 회색의 단계를 얼마나 세밀하게 구분할 수 있는가 하는 정도는 훈련에 따라 달라지지만 대부분 10단계 정도로 나누어 사용
- red 프리즘에서 빛의 파장이 가장 길기 때문에 64개까지도 나눠짐
3) 채도대비
- 같은 색이라도 바탕색의 채도가 낮으면 그 색의 채도가 높게 보이고 높으면 낮게 보임. 채도대비는 색채가 지닌 순수한 정도의 차이를 의미. 채도대비는 유채색과 무채색 사이에서 더 뚜렷하게 느낄 수 있음
4) 한난대비
- 한색이라 하더라도 더 강한 한색들 사이에서는 난색처럼 느껴지도록 하고 반대로 더 강한 난색들 사이에서는 흰색처럼 느껴질 수 있음
- 고명도의 색이 저명도의 색보다 차갑게 느껴짐
5) 면적대비
- 같은 색일지라도 면적이 더 넓은 색이 더 밝고 선명해 보이며, 면적이 넓을 수록 그 색에 대한 느낌도 강해짐.
- 순색의 면적 대비는 큰 면적보다도 작은 면적 쪽이 더 효과적이며 넓은 면적은 강한 자극을 주어 눈을 쉽게 피로하게 만들고 좁은 면적의 색이 더 뚜렷하게 보임
- 좋은 대비효과를 목적으로 할 경우 넓은 면적은 채도가 낮은 색으로, 좁은 면적은 채도가 높은 색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