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CCS 표색계의 해
1. 표색계의 이해
- 표색계(表色系, colorimetric system): 색(色)을 표시 하는 체계. 현대 색채과학은 2가지 기준으로 색체 표현법을 구분
cf) 혼색계: 빛의 성질을 기반하여, 정량적인 수치를 기초로 만들어진 색체계 (CIE 표준 표색계)
1) 먼셀의 표색계
-"색의 3속성에 의한 방법"이란 제목으로 한 국 공업 규격(KS A0062)에서 채택
- 색채교육용으로서 합리적인 표색방법으로 인정받아 국제적으로 널 리 사용되고 있는 표색계 (가로의 길이는 달라질 수 있음)
- 빨강(R)·노랑(Y)·녹색(G)·파랑(B)·보라(P)를 기본색
- 색상환: 각각의 중간에 주황(YR)·연두(GY)·청록(BG)·남색(PB)·자주(RP)로나 눔. 각 색상 사이를 다시 또 10등분하여 번호를 붙임
2) 오스트발트의 표색계
- 모든 빛을 완전하게 흡수하는 이상적인 흑(b).
- 모든 빛을 완전하게 반사하는 이상적인 백(w).
- 특정 영역의 빛만을 완전하게 반사하고 나머지 파장 영역을 완전하게 흡수하는 이상적인 순색(c)이 현실에 존재하지 않음을 가정하고 이들 3색 혼합에 의하여 물체색을 체계화 한 것
- 색료로 표시할 수 있는 백을 A, 흑을 P로 한 8단계.오스트발트의 무채색 단계는 명도단계가 아니며 백, 흑의 함유량의 스케일
- 색상환: 4가지색 빨강, 초록, 노랑, 파랑을 기준으로 4가지색을 더한 8가지 색상, 3등분씩하여 24색으로 색상환 사용
2. PCCS 표색계의 이해
1) 개요: 배색을 위한 표색계
- PCCS는 일본 색채연구소가 1964년에 발표한 색체계로서 정식 명칭은 일본 색소배색 체계(Practical Color Co-ordinate System)이며, 색채 교육용으로 만들어진 시스템으로서 간략하게 PCCS로 부름
- 목적: 색의 표시보다는 색채조화를 체계적으로 선정하기 위한 색 공간을 제공하는 것
- 특징: 색상, 명도, 채도의 3 속성으로 색을 나타내는 방법 외에, ‘명도’와 ‘채도’를 융합한 ‘톤’라고 하는 개념을 가지고 있어, ‘색상’과 ‘톤’의 2 속성으로 나타낼 수 있음.이러한 특징 때문에 「휴톤 시스템(Huetone system)」이라고도 부름
2) 색상환:
- 4원색 빨강, 노랑, 초록, 파랑을 기본색으로 놓고, 180도 의 쌍이 되는 심리 보색을 위치
- 24색상으로 구성
- 각 생상에는 번호, 약호, 명칭 순으로 표기
3) 명도와 채도
- 명도: 흰색을 명도 9.5, 검정을 명도 1.5 .그 사이를 등간격이 되도록 15색의 무채색을 삽입, 0.5스텝의 합계 17단계
- 채도(S, Saturation):무채색을 0s, 순색을 9s로 하고, 그 사이를 지각적으로 등 간격이 되도록 분할하여 10단계
3. PCCS의 톤체계
1) 소문자 표기 (12가지로 분류)
(1) Vivid: 중명도, 고채도의 선명한 톤.
(2) Strong: 중명도, 고채도의 강한 톤.
(3) Bright: 고명도, 고채도의 밝은 톤.
(4) Deep: 저명도, 고채도의 진한 톤.
(5) Light: 고명도, 중채도의 은은한 톤.
(6) Soft: 고/중명도, 저채도의 연한 톤.
(7) Dull: 중명도, 중채도의 차분한 톤.
(8) Dark: 저명도, 저/중채도의 어두운 톤.
(9) Pale: 고명도, 저채도의 연한 톤.
(10) Light grayish: 고/중명도, 저채도의 흐릿한 톤.
(11) Grayish: 중명도, 저채도의 탁한 톤.
(12) Dark grayish: 저명도, 저/중채도의 어둡고 흐린 톤.
2) 톤의 분류
(1) 명청색: 브라이트, 라이트, 페일
- 순색에 흰색을 혼합해서 만들어지는 색. 밝고 선명한 인상을 주어 명청색(明淸色)이라 부름
(2) 암청색: 딥, 다크, 다크그레이시
- 순색에 검정을 혼합해서 만들어지는 색. 어둡고 선명한 인상 을 주어 암청색(暗淸色)이라 부름
(3) 중간색: 소프트, 덜, 라이트 그레이시, 그레이시
- 순색에 회색을 혼합해서 만들어지는 색
- 무채색이 바탕이 되어 중간색
'review of > things' 카테고리의 다른 글
[Aroma Therapy Specialist] 아로마테라피의 정의와 역사에 대하여 (0) | 2023.03.19 |
---|---|
[Personal Color Specialist] Warm & Cool, 청과 탁의 구분 (1) | 2023.03.19 |
[Personal Color Specialist] 색의 3속성, 색의 혼합, 색의 대비 (0) | 2023.03.19 |
[Personal Color Specialist] 한색계열 컬러의 역사, 마케팅적 의미 (blue, purple, green, white, black) (0) | 2023.03.19 |
[Personal Color Specialist] 난색 계열 컬러의 역사, 마케팅적 의미 (red, orange, yellow, pink, brwon) (1) | 2023.03.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