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study about 163

시제품 출시 전 여러 검증 방법론(MVP, 프로토타입, BMT, PoC의 차이)

어느날 온 제휴처의 카톡 우리 서비스를 좋게 봐주는 곳이 있어서 담당자를 소개 시켜주시려 하는데 마지막 카톡을 사실 단번에 이해하지 못했다 이 기회를 통해 여러 개념에 대해 정리를 해보고자 한다. POC (Proof Of Concept)란? 기존에 시장에서 사용되지 않던, 신기술을 프로젝트에 도입하기에 앞서, 검증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방법론이다. IT 업계에서 PoC는 신기술이 적용된 신제품을 직접 보고 어떻게 작동하는지를 시장에 소개하는 사전 검증의 개념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보통 시스템 구매 시 기존 제품의 경우 성능테스트를 뜻하는 BMT를, 아직 양산되지 않은 신제품을 채택할 경우 PoC의 단계를 거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 일부 업체들은 자사 신제품을 전시하고 시스템을 구현시키는 테스트실을..

study about/etc 2022.06.30

장수 브랜드의 비결 (차이식역, 절대식역, 베버의 법칙)

하루에도 수백개의 브랜드와 서비스가 생기고 없어지고 하는 빠른 세상 속에서도 몇십년간 제 위상을 지키는 브랜드들이 있다. 이들의 공통점은 새로운 라인업이 출시될 때에도 기저에 깔린 브랜드 가이드나 이미지를 훼손하지 않는 선에서 브랜드의 코어한 가치나 미션은 들고가면서도 소비자들이 새롭다고 느끼게 할 만한 요소들을 첨가하여 자신의 브랜드를 새롭게 느끼게 한다. 콘셉과 표현의 기본 축을 단 한번도 흔들림 없이 일관성있게 유지하면서도, 구매하고자 하는 욕구를 일깨운다. 같은 말로 조금 더 소비자 행동론적인 워딩으로 수정을 하면 이들은 익숙함과 새로움 그 사이의 ‘차이식역’을 관리한다 차이식역(differential threshold)이란 지각할 수 있는 최소한의 차이, JND(Just Noticable dif..

study about/etc 2022.06.28

요즘 것들에 대한 안티테제 등장, 정반합(正反合)의 과정

정반합은 철학용어로, 헤겔의 변증법을 도식화한 논리의 전개 방식 중 하나이다. 기본적인 구도는 정(테제)가 그것과 반대되는 반(안티테제)와의 갈등을 통해 정과 반이 모두 배재되고 합(진테제)로 초월한다는 것이다. 역사에 대한 철학적 관점은 두 가지이다. 하나는 시간의 흐름 속에 일련의 과정이 반복적으로 등장한다는 시각이며, 다른 하나는 특정 방향을 향해 직선적으로 나아간다고 파악하는 시각이다. 불교의 윤회설은 전자에 가장 가까우며, 서양의 기독교적 역사관의 후자의 대표주자이다. 헤겔의 역사관 또한 합(合)이 언제나 이전의 합(合)과는 다르며, 전보다 발전적이며 성숙한 모습을 갖는다고 해석함으로서 후자의 시각에 가깝다고 할 수 있다. 그에 따르면 변증법적 순환을 통해 도출된 합은 앞선 정과 반의 치열한 갈..

study about/etc 2022.06.18
반응형